전체 글 13

2. 힘의 모멘트

1. 힘의 모멘트모멘트(토크) : 어떤 축에 대해 물체를 회전시키려는 힘의 작용.   Mo =Fd=> 회전축(o)으로부터 힘의 작용선까지의 수직 거리가 d일때 힘 F의 회전축에 대한 모멘트의 크기(Mo)부호- 모멘트가 반시계 방향인 경우 : (+)- 모멘트가시계 방향인 경우 : (-) 2. 모멘트의 벡터 표현 벡터 r은 모멘트 기준점 O로부터 힘 벡터 F의 작용선상의 점 A까지의 위치벡터. 벡터 Mo을 점 O에 대한 힘 벡터 F의 모멘트다. 3. 바리논 정리한 점에 여러 힘이 작용할 때, 어떤 기준점(O)에 대한 각 힘의 모멘트의 합은 동일한 기준점(O)에 대한 이들 힘의 합력의 합력의 모멘트와 같다. 기준점(O)으로부터 각 힘까지의 위치벡터를  벡터r라고 가정하면, 따라서, 점 O에 대한 각 힘들의 모..

역학/2. 정역학 2025.04.11

1. 열역학 기본

1. 열역학 계1) 열역학 계의 종류 - 계방계 : 경계를 통해, 주위와 열과 일 및 물질의 이동이 있는 계 - 밀폐계 : 경계를 통해, 주위와 열과 일은 이동이 있으나 물질의 이동이 없는 계- 고립계 : 경계를 통해, 주위와 열과 일 및 물질 모두 이동이 없는 계 2) 계의 상태와 성질 (1) 상태 : 상태량 또는 성질이라고 하는 측정이 가능한 량의 값(2) 성질    - 용량성 성질 : 질량에 비례하는 성질 ( 질량, 체적, 엔탈피, 엔트로피 )   - 강도성 성질 : 질량에 무관한 성질 ( 온도, 습도, 압력, 밀도, 비체적 등) 2. 용어와 단위계1) 온도(1) 섭씨 온도 : 표준 대기압(1atm)에서 순수한 물의 어느 점은 0℃, 끓는 점을 100℃로 정하여 그 사이를 100등분한 것을 1℃ 라..

역학/6. 열역학 2025.04.07

1. 아두이노 전원 입출력

1. 아두이노 우노 R3 보드 아두이노 우노 보드는 DC 5~20V의 전원을 입력 받아 작동, 권장 입력 전압은 DC 9~12V 2. 아두이노 전원 출력아두이노에 입력된 전원은 보드 위에 내장된 레귤레이터(높은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조정해주는 전자 부품)을 통해 5V 혹은 3.3V로 변환, 변환된 전원은 전원 핀 쪽에 5V핀과 3.3V핀, GND((-)전원을 입력받고, 그라운드로 불려지므로 연결된 기준점을 0V로 맞춰짐) 3. LED 켜기아두이노에서는 3.3V 또는 5V의 전원을 출력 가능, 이 전원은 다른 부품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전기에너지가 된다. 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반도체 소자다. 디지털 반도체 소자이며, 고효율, 저전력, 장수명이라는 특징이 있다.LED 에서 ..

1. 변수

1. 변수 선언 방법데이터의 종류에 맞는 자료형과 변수명을 나란히 사용 1) 정수형=> int a;  (int 형 변수 a선언) 2) 실수형=> double b; (double 형 변수 b 선언) 3) 문자형=> char  c; (char 형 변수 c 선언) # 변수 선언과 대입규칙(1) 중괄호의 블록 안에 변수를 선언, 선언한 위치 부터 블록 끝까지 사용가능 (2) 변수의 자료형이 같으면 동시에 둘 이상의 변수를 선언가능     ex) int b, c; (3) 대입 연산자는 연산자 왼쪽의 변수에 오른쪽의 값을 저장   (4) 변수는 대입 연산자 왼쪽에서는 저장 공간이 되고, 오른쪽에서는 값이 됨

1. 힘의 성분과 합력

1. 스탈라와 벡터1) 스칼라크기만으로 나타낼 수 있는 물리량(거리, 면적, 부피, 시간 등)을 스칼라라고 한다. 2) 벡터크기와 방향을 갖는 물리량( 힘, 모멘트, 변위, 속도 등)을 벡터라 한다. 2. 힘물체의 모양이나 운동상태를 변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물리량 3. 힘의 3요소힘의 효과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 방향, 작용점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들의 힘을 3요소라 한다. 4. 힘의 합력두 개 이상의 힘과 같은 효과를 갖는 하나의 힘을 구하는것. 이때 구한 힘을 합력이라 한다. 5. 나란한 두 힘의 합력1) 같은 방향의 두 힘이 작용할 때 합력의 크기는 두 힘의 크기를 더한 값. 방향은 두 힘의 방향 2) 반대 방향의 두 힘이 작용할 때합력의 크기는 큰 힘에서 작은 힘을 뺀 값. 방향은 큰 힘의..

역학/2. 정역학 2025.04.04

3. 전기전자 기초

1. 직류와 교류직류(AC) 전기는 시간에 따라 일정한 세기로 흐르는 전기이며,교류(DC) 전기는 시간에 따라 음극과 양극을 빠르게 움직이는 전기다. 직류와 교류의 큰 차이는 송전의 효율성에 있다.직류는 멀리 송전할수록 전기량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어, 가까운 지역에 발전소를 설치 해야한다.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리모콘의 배터리와 같은 대부분의 전자부품에 사용되며,극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극은 (+)끼리 (-)극은 (-)극끼리 연결해서 사용한다.반대로 교류의 경우 거리가 멀어도 전기 소모량이 적어 전기가 싸고 편리하게 공급 가능하다.실생활에서는 220V 콘센트로 사용되고 있고, 1초에 극성이 60번씩 바뀌기에 (+)극, (-)극 구분없이 연결하여 사용한다. 아두이노의 경우 직류전기에 해당된다..

1. 데이터 출력 방법

1. main 함수main 함수는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된다.머리에는 함수의 이름가 필요한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몸통은 중괄호({})안에 작성하며, 함수에서 실행할 일을 기술하면 된다. - 주석-주석은 코드 실행시 반영 되지 않는 코드라고 생각하면 되고, 메모 용도로 사용된다 주석은 2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 : /* 과 */ 사이에 있는 내용을 주석처리 // : // 부터 해당줄 끝까지 주석처리 - c언어의 규칙-Rule 1 : 세미클론(;)을 사용해 문장의 끝을 표시Rule 2 : 한줄에 한 문장 씩 작성Rule 3 : 일정한 간격으로 들여씀 2. printf 함수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할 때 printf를 사용한다.printf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stdio.h를 불러 와야하는데, 코드 최상단에 ..

2. 일과 동력

1. 일'1.차원과 단위계'에서 1J에 대해 다룬적이 있다. =>  1J = 1N·m = 1kg·m²/s² 위 식은 1N의 힘을 작용하여 1m 이동 했을 때 한 일의 양을 1J 이라고 한다는 뜻이고, 1J은 일의 단위가 된다. 그럼 일이란 위와 같이 힘(F)이 물체에 작용하여 이동거리(s) 만큼 움직일때, 일(W)은  =>  W = Fs라는 식이 성립하며,  일의 정의는 =>  W = ∫F⃗ds⃗ 힘의 방향 ( F⃗) 과 이동거리 ( ds⃗)의 거리가 θ를 이루면  =>  W = F s cos( θ ) 2. 동력동력(P)이란, 단위 시간(t)동안 한일(W)의 양이며, 다음과 같은 식으로 정의한다. =>  P = W/t (1) 직선운동직선에서의 동력(P)은 속도 v로 운동하는 물체에 같은 방향으로 F의 힘..

역학/1. 단위 2025.03.28

2. 프로그래밍이란?

1. 프로그래밍프로그램은 일의 순서라고 생각하면 되고, 프로그래밍은 그러한 순서를 만드는 과정이다.컴퓨터를 통해 제작하는 것을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하고,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 파이썬 등) 사용해 만들 수 있다. 2.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프로그래밍 언어는 사람과 컴퓨터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언어다. 컴퓨터는 0 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로 인식한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진다. -C언어-절차 지향적 언어 :  소스코드의 짜인 순서 위주로 동작빠른 연산속도, 운영체제 및디바이스 드라이버, 마이크로 컨트롤러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등을 사용. 차후에 사용할 아두이노 플랫폼은 C언어, C++ 기반의 언어를 사용한다. - 자바-객체 지향적 언어 :  각각의 구성요소가 중..

1. 아두이노란?

1. 아두이노 아두이노는 브랜드로, '아두이노 보드'는 아두이노에서 제작된 보드들, 그 것을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이라고 한다. 2. 마이크로컨트롤러'아두이노 보드'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고,  그 것은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한 역할을 위해서 여러가지 부품을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따라서 아두이노 보드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부품들을 하나의 부품들을 하나의 보드 위에 연결하여 만들어진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이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손쉽게 사용가능하게 한다. 3. 오픈소스 하드웨어오픈소스 하드웨어란 제작, 수정, 유통를 하는데 있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소스코드를 대중에게 공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