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이노 4

1. 아두이노 전원 입출력

1. 아두이노 우노 R3 보드 아두이노 우노 보드는 DC 5~20V의 전원을 입력 받아 작동, 권장 입력 전압은 DC 9~12V 2. 아두이노 전원 출력아두이노에 입력된 전원은 보드 위에 내장된 레귤레이터(높은 전압을 일정한 전압으로 조정해주는 전자 부품)을 통해 5V 혹은 3.3V로 변환, 변환된 전원은 전원 핀 쪽에 5V핀과 3.3V핀, GND((-)전원을 입력받고, 그라운드로 불려지므로 연결된 기준점을 0V로 맞춰짐) 3. LED 켜기아두이노에서는 3.3V 또는 5V의 전원을 출력 가능, 이 전원은 다른 부품에 전원을 공급해줄 수 있는 전기에너지가 된다. LED는 전기 에너지를 빛 에너지로 변환시켜주는 반도체 소자다. 디지털 반도체 소자이며, 고효율, 저전력, 장수명이라는 특징이 있다.LED 에서 ..

3. 전기전자 기초

1. 직류와 교류직류(AC) 전기는 시간에 따라 일정한 세기로 흐르는 전기이며,교류(DC) 전기는 시간에 따라 음극과 양극을 빠르게 움직이는 전기다. 직류와 교류의 큰 차이는 송전의 효율성에 있다.직류는 멀리 송전할수록 전기량이 손실되는 문제가 있어, 가까운 지역에 발전소를 설치 해야한다.대표적으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리모콘의 배터리와 같은 대부분의 전자부품에 사용되며,극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극은 (+)끼리 (-)극은 (-)극끼리 연결해서 사용한다.반대로 교류의 경우 거리가 멀어도 전기 소모량이 적어 전기가 싸고 편리하게 공급 가능하다.실생활에서는 220V 콘센트로 사용되고 있고, 1초에 극성이 60번씩 바뀌기에 (+)극, (-)극 구분없이 연결하여 사용한다. 아두이노의 경우 직류전기에 해당된다..

2. 프로그래밍이란?

1. 프로그래밍프로그램은 일의 순서라고 생각하면 되고, 프로그래밍은 그러한 순서를 만드는 과정이다.컴퓨터를 통해 제작하는 것을 '컴퓨터 프로그램'이라고 하고, 프로그래밍 언어 (C언어, 파이썬 등) 사용해 만들 수 있다. 2. 프로그래밍 언어의 종류프로그래밍 언어는 사람과 컴퓨터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해주는 언어다. 컴퓨터는 0 과 1로 이루어진 기계어로 인식한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원활한 소통이 가능해진다. -C언어-절차 지향적 언어 :  소스코드의 짜인 순서 위주로 동작빠른 연산속도, 운영체제 및디바이스 드라이버, 마이크로 컨트롤러 임베디드 프로그래밍 등을 사용. 차후에 사용할 아두이노 플랫폼은 C언어, C++ 기반의 언어를 사용한다. - 자바-객체 지향적 언어 :  각각의 구성요소가 중..

1. 아두이노란?

1. 아두이노 아두이노는 브랜드로, '아두이노 보드'는 아두이노에서 제작된 보드들, 그 것을 프로그래밍하여 사용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아두이노 통합개발환경(IDE)'이라고 한다. 2. 마이크로컨트롤러'아두이노 보드'에는 '마이크로컨트롤러'가 내장되어 있고,  그 것은 두뇌와 같은 역할을 한다.  그러한 역할을 위해서 여러가지 부품을 연결해야하기 때문에 개별적으로 사용하기 불편하다. 따라서 아두이노 보드는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중심으로 여러가지 부품들을 하나의 부품들을 하나의 보드 위에 연결하여 만들어진 마이크로컨트롤러 보드이며, 마이크로컨트롤러를 손쉽게 사용가능하게 한다. 3. 오픈소스 하드웨어오픈소스 하드웨어란 제작, 수정, 유통를 하는데 있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및 소스코드를 대중에게 공개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