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1. 상수와 데이터 출력

1. 데이터 출력 방법

공학취미 2025. 3. 29. 10:24

1. main 함수

main 함수는 머리와 몸통으로 구성된다.

머리에는 함수의 이름가 필요한 데이터 등을 표시한다.

몸통은 중괄호({})안에 작성하며, 함수에서 실행할 일을 기술하면 된다.

 

- 주석-

주석은 코드 실행시 반영 되지 않는 코드라고 생각하면 되고, 메모 용도로 사용된다 주석은 2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 */ : /**/ 사이에 있는 내용을 주석처리 

// : // 부터 해당줄 끝까지 주석처리

 

- c언어의 규칙-

Rule 1 : 세미클론(;)을 사용해 문장의 끝을 표시

Rule 2 : 한줄에 한 문장 씩 작성

Rule 3 : 일정한 간격으로 들여씀

 

2. printf 함수

화면에 데이터를 출력할 때 printf를 사용한다.

printf 함수를 사용하기 위해 stdio.h를 불러 와야하는데, 코드 최상단에 #include <stdio.h> 문장 작성 하면 된다.

 

3. 제어 문자 출력

제어 문자란 문자는 아니지만, 출력방식에 영향을 주는 문자이다.

 

1. \n

\n의 역활은 줄 바꿈 역활을 한다.

추가적으로 \t는 탭(tab)의 역활을 한다.

 

2. \b

\b는 한 칸을 왼쪽으로 이동하는 역활을 한다.

예컨대 blow\bg 이 코드에 작성되어 있으면, blow을 출력 후 g를 출력 하면 w가 g로 바뀌는 구조다.

 

3. \r

\r은 맨 앞으로 보내는 역활이다.

예를 clog\rb의 경우, b를 출력하면 첫번째 칸으로 이동해서 blog가 된다.

 

4. \a

\a는 벨소리를 낸다.

 

예시
결과

3. 정수와 실수

printf 함수는 기본적으로 문자열을 출력하므로, 숫자를 출력할 때 변환 문자를 사용해 문자열로 변환한다.

정수는 %d, 실수는 %lf를 사용한다.

숫자를 출력할 때, 괄호 내 변환 문자와 숫자를 콤마로 구분해서 사용한다.

=> printf("변환 문자", 숫자)

 

1. 소수점 자릿수 지정과 반올림

%lf로 실수로 출력 시 소수점 이하 여섯째 자리까지 출력된다.

따라서 소수점 자릿수를 바꾸려면 %와 lf사이에 소수점을 찍고 자릿수를 지정한다.

 

2. 변환 문자 여러개 사용하기

변환 문자가 n개면 출력할 갯수도 동일한 개수를 가져야한다.

변환 문자의 개수와 출력할 값의 개수가 일치해야 하고 앞에서 부터 차례로 출력된다.

 

예시
결과